반응형
지수 표현 방식
파이썬에서는 e나 E를 이용해 지수 표현 방식을 이용 가능하다.
유효숫자e^지수 = 유효수자 x 10^지수
- e나 E 다음에 오는 수는 10의 지수부를 의미한다.
- 예를 들어 2e9라고 입력한다면, 2*10^9를 의미한다.
- 최단 경로 알고리즘에서는 도달할 수 없는 노드에 대하여 최단거리를 무한(INF)로 설정하곤 한다.
- 지수표현 방식은 실수형 데이터로써 처리된다.
실수형 주의점
10진수 체계에서는 0.3과 0.5를 더한 값이 0.8로 딱 떨어지지만, 2진수 체계에서는 정확히 표현할 수가 없다.
(미세한 오차 발생)
python에서의 나누기 결과는 실수형으로 반환된다.
num = 0.3 + 0.5
print(num)
# 0.79999999999999 출력
따라서 round() 함수를 이용해 반올림 하는것을 권장한다.
거듭제곱 연산
**연산자를 통해 거듭제곱 연삽을 할 수 있다.
a=4
b=2
print(a**b) # 16 출력
print(a**0.5) # 2 출력
리스트 컴프리헨션
: 리스트를 초기화하는 방법 중 하나로, 대괄호 안에 조건문과 반복문을 적용해 사용
arr = [i for i in range(10)]
# arr : [0, 1, 2, 3, 4, 5, 6, 7, 8, 9]
arr = [i for i in range(10) if i%2==1] # 0부터 9까지 홀수
# arr : [1, 3, 5, 7, 9]
arr = [i*i for i in range(1,5)] # 1부터 4까지의 제곱 값
# arr : [1, 4, 9, 16]
arr = [[0]*3 for _ in range(2)] # 2x3 크기의 2차원 배열
# arr : [[0,0,0],[0,0,0]]
언더바의 사용
: 반복을 수행하되 반복을 위한 변수의 값을 무시 할 때 사용
# hi!를 5번 출력하기
for _ in range(5):
print("hi)
리스트 관련 메서드
함수명 | 사용법 | 설명 | 시간 복잡도 |
append() | 변수명.append() | 리스트에 원소를 하나 삽입할 때 사용한다. | O(1) |
sort() | 변수명.sort() | 오름차순 정렬 | O(NlogN) |
변수명.sort(reverse=True) | 내림차순 정렬 | ||
reverse() | 변수명.reverse() | 원소 순서 반대로 | O(N) |
insert() | insert(삽입할위치 인덱스, 삽입할 값) | 특정 인덱스 위치에 원소 삽입 | |
count() | 변수명.count(특정 값) | 특정 값 가지는 데이터 개수 | |
remove() | 변수명.remove(특정 값) | 특정 값 원소 한개만 제거 |
반응형
'Coding Test > 코테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디(탐욕법) 알고리즘 - 곱하기 혹은 더하기 (0) | 2022.10.19 |
---|---|
그리디(탐욕법) 알고리즘 - 1이 될 때 까지 (0) | 2022.10.19 |
그리디(탐욕법) 알고리즘 - 거스름돈 문제 (0) | 2022.10.19 |
python 코테 유의 문법2 (0) | 2022.10.18 |
코딩테스트를 위한 복잡도와 빅오 표기법 (0)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