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코테 유의 문법 (실수형과 리스트)
·
Coding Test/코테 이론
지수 표현 방식 파이썬에서는 e나 E를 이용해 지수 표현 방식을 이용 가능하다. 유효숫자e^지수 = 유효수자 x 10^지수 e나 E 다음에 오는 수는 10의 지수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e9라고 입력한다면, 2*10^9를 의미한다. 최단 경로 알고리즘에서는 도달할 수 없는 노드에 대하여 최단거리를 무한(INF)로 설정하곤 한다. 지수표현 방식은 실수형 데이터로써 처리된다. 실수형 주의점 10진수 체계에서는 0.3과 0.5를 더한 값이 0.8로 딱 떨어지지만, 2진수 체계에서는 정확히 표현할 수가 없다. (미세한 오차 발생) python에서의 나누기 결과는 실수형으로 반환된다. num = 0.3 + 0.5 print(num) # 0.79999999999999 출력 따라서 round() 함수를 이용해 반..
코딩테스트를 위한 복잡도와 빅오 표기법
·
Coding Test/코테 이론
복잡도 : 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 일반적으로 낮을수록 좋은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 : 특정한 크기의 입력에 대해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 분석 공간 복잡도 : 특정한 크기의 입력에 대해 알고리즘의 메모리 사용량 분석 빅오 표기법 :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항(함수의 상한)만을 표기 O(1) < O(logN) < O(N) < O(NlogN) < O(N^2) < O(N^3) < O(2^n) num = [1,2,3,4] sum = 0 for i in sum: sum+=i print(sum) # 수행 시간은 데이터의 개수 N에 비례하므로 시간 복잡도는 O(N) arr = [1,2,3,4] for i in arr: for j in arr: sum += i+j print(sum) # 시간 복잡도: O(N^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