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입문

2020. 10. 16. 03:00·study/Big data analysis
반응형

임의실험, 계산법칙과 확률부여하기

사건과 확률

확률의 기본관계

조건부 확률

베이즈 정리

 


임의실험, 계산법칙과 확률부여하기

확률

  •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하는 수치 척도
  • 0~1 사이의 값을 가진다.

통계 실험

  • 통계학에서 실험은 물리학에서의 실험과는 조금 다르다.
  • 통계 실험에서는 확률이 결과를 결정한다.
  • 즉 같은 실험이 똑같이 반복되어도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 이러한 이유로 통계 실험은 때때로 임의실험이라고도 불린다.

 

실험과 그에 따르는 표본공간

  • 실험은 잘 정의된 결과를 생산하는 과정이다.
  • 표본공간은 실험에서 나타날 모든 결과의 집합이다.
  • 실험 결과는 표본공간의 한 원소로 표현되는 표본점이라고 불린다.

순열 계산법칙

서로다른 N개 중에서 서로다른 n개를 뽑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조합의 경우의 수에서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 n!을 곱하면 된다.

N! = N(N - 1)(N - 2) . . . (2)(1)                  n! = n(n - 1)(n - 2) . . . (2)(1)                    0! = 1

 

조합 계산법칙

서로 다른 N개에서 서로 다른 n개를 동시에 추출하는 방법의 수

 

N! = N(N - 1)(N - 2) . . . (2)(1)                  n! = n(n - 1)(n - 2) . . . (2)(1)                    0! = 1

 

 

확률 부여하기

확률부여의 기본조건

  • 1. 실험결과에 부여되는 모든 확률은 반드시 0과 1 사이에 있어야 한다.
  • 2. 모든 실험결과의 확률의 합은 반드시 1이어야 한다.

- 고전적 방법 : 모든 실험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우 동일한 확률을 부여한다. (ex.주사위 던지기)

- 상대도수 방법 : 실험이나 과거의 자료에 근거하여 상대도수로 확률을 부여한다. (ex. 루카스 가구대여)

- 주관적 방법 : 주관적 판단에 따라 확률을 부여한다.

 

 

사건과 그에 따르는 확률

  • 사건은 표본점들의 집합이다
  • 어느 사건의 확률은 사건속의 표본점들의 확률의 합이다.
  • 우리가 모든 표본점들의 확률을 부여할 수 있다면, 사건의 확률도 계산할 수 있다.

 

확률의 기본 성질

모든 표본점의 확률을 알지 못할 때, 사건의 확률을 계산하는데 이용되는 몇 가지 확률의 기본관계가 있다.

 

- 보사건 : 사건 A의 보사건은 A에 포함 되지 않는 표본점들의 집합이다. (여사건)

- 두 사건의 합집합

- 두 사건의 교집합

- 두 사건의 상호 배반 사건 : 두 사건에 공통인 표본점이 없는 사건

 

- 조건부 확률 : 어느 한 사건이 일어났을 때, 다른 사건이 일어날 확률

B가 일어났을 때, A가 일어날 확률

- 덧셈법칙 

 

- 곱셈법칙 

 

- 독립사건 : 사건 B의 존재가 사건 A의 확률을 바꾸지 않는다면 사건 A와 B는 독립이다.

독립사건에 대한 곱셈법칙

 

상호배반과 독립

  • 상호배반 사건 중 하나가 발생하였다면, 다른사건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른 사건이 발생활 확률은 0이 된다. 그리고 확률이 달라지므로 두 사건은 독립이 아니다.
  • 두 사건이 상호배반이 아니라면, 독립이 될 수 있고, 종속이 될 수 있다.

 


베이즈 정리

  • 우리는 관심이 있는 사건의 최초확률 또는 사전활률 추정치를 가지고 분석을 시작한다.
  • 그리고 표본, 보고서, 테스트 등과 같은 자료로 부터 사건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게 된다.
  • 이러한 새로운 정보를 알고 사전확률을 수정함으로써 사후확률 이라는 확률을 계산한다.
  • 베이즈 정리는 이러한 사전확률을 수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ex) 엘 에스 의류

반응형

'study > Big data analy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속확률분포  (0) 2020.10.18
이산 확률분포  (0) 2020.10.16
기술통계량 - 수치적 척도  (0) 2020.10.14
기술통계량 - 정량적 측정 : 위치척도와 변동성 척도  (0) 2020.10.14
기술 통계학 - 표와 그래프 표현  (0) 2020.09.14
'study/Big data analy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속확률분포
  • 이산 확률분포
  • 기술통계량 - 수치적 척도
  • 기술통계량 - 정량적 측정 : 위치척도와 변동성 척도
jjikky
jjikky
  • jjikky
    jikky.env
    jjikky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React
      • Node.js
        • TDD
        • Node.js
        • mern
        • OAuth
        • js_facebook login
      • Coding Test
        • 백준 알고리즘
        • CodeUp
        • 코테 이론
      • Js
        • Javascript
      • study
        • python
        • android
        • Big data analysis
        • Logic Circuit
      • git
      • 개발일지
      • 게임기획
      • Docker
      • IPFS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안드로이드
    git 유용한 명령어
    파이썬
    verilog
    Python
    verilog할당문
    파이썬 그리디
    UI
    범주형 자료
    빅데이터
    NFT IPFS
    파이썬 딕셔너리
    nft
    그리디 알고리즘
    NFT Marketplace
    ifps 네트워크 지연
    파이썬 완전탐색
    Ipfs
    코딩테스트
    ipfs add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1
jjikky
확률입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